공무원연금에 대해 알아봅시다.
공무원연금제도는 국가의 책임하에 운영되는 공적연금이며, 공무원의 퇴직 또는 사망과 공무로 인한 부상, 질병, 장해에 대하여 급여를 지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공무원연금은 징계시에도 받을 수 있을까요?
공무원은 신분상 많은 제약, 모든 영리 활동 금지, 재산공개, 금고 이상 형벌이나 징계 시 연금 50%가 삭감되며, 퇴직금도 민간기업에 비해 최대 40% 수준이며, 나머지 60%를 연금으로 쪼개서 받습니다.
따라서 공무원 연금은 사회보장적 성격 뿐만 아니라, 후불임금, 인사정책적인 성격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.
공무원연금 개정 연혁
공무원연금은 더 내고 덜받는 쪽으로 꾸준히 개정되고 있습니다.
연금 보험료율은 동결되고 있으며, 연금지급률은 감소하고 있습니다.
그래도 그나마 연금을 상당히 받는 현재 퇴직공무원들도 2016년 ~ 2020년 5년 동안 연금 금액이 동결된 바 있습니다.
공무원연금 vs 사학연금 vs 군인연금 vs 국민연금 평균수령액
공무원연금 외 그 외 연금을 함께 비교하여 표로 정리하였습니다.
연금 평균 수령액을 살펴보면 사립학교 교직원이 기여금(부담률)이 가장 높으면서 연금 평균 수령액도 가장 많이 받고 있습니다.
그에 비해 군인은 기여금(부담률)이 14%로 다소 낮지만 두 번째로 연금 평균 수령액이 높습니다.
공무원연금은 2015년 연금 개정으로 기여율 부담률은 인상(7% →9%)으로 인상되고 있고, 퇴직자 연금 지급률은 2035년까지 단계적 인하(1.9%→1.7%)될 예정입니다.
또한 연금 지급 개시연령은 임용시기 구분 없이 65세로 단계적 연장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
단, 1995년 12월31일 이전 임용자는 종전 규정 적용이 되지만, 2027년 ~ 2029년에 퇴직하는 공무원의 경우 65세에 연금이 지급됩니다.
2023년 공무원 봉급은 얼마일까요?
아래는 2022년 공무원 일반직 봉급표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공무원의 월급으로 공무원연금 외 노후준비를 하기에는 9급 공무원들은 상당히 빠듯할 것 같기도 합니다.
2023년에는 2022년 봉급에서 1.7% 인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
대한민국 평균 기대수명과 퇴직연금 및 내 연금 미리 알기
대한민국 인구의 평균 기대수명은 2020년 기준으로 83.5세입니다.
시간이 갈수록 기대수명은 더 늘어날 것이고,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젊은 인구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.
따라서 내 노후는 내가 챙겨야 합니다. 내 공무원연금이 얼마인지 짐작이라도 되어야 내 노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.
아래 사이트를 누르면 공무원 퇴직연금 계산법과 내 연금 계산하기 방법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.
댓글, 하트, 구독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.
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2032년 자산 더블업이었습니다. :)
'공무원 Info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쉽고빠른] 문서24를 활용한 "공무원 복무상황신고서" 발급 방법 (6) | 2023.09.26 |
---|---|
[쉽고빠른]정부24를 활용한 공무원 휴직, 재직증명서 발급방법 안내 (2) | 2023.09.05 |
[노후준비] 공무원연금 계산법(지금 내 연금은 얼마?)ft.현직공무원 퇴직일시금 공개 (45) | 2023.04.23 |
[공무원연봉]2023년 공무원 직종별 봉급표(행정직, 경찰소방, 교사, 군인 등) (45) | 2023.04.16 |
[노후준비] 30년 일하면 공무원연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어요?(feat.수령공백기,공무원 정년) (43) | 2022.09.30 |